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이것도 부당해고일까요? 일이끝나고 늦은시각에 사장님에게 전화를드려 가불을부탁드렸습니다 그러고 쫌있다가 한번더부탁드렸습니다 일을한 금액안에서

일이끝나고 늦은시각에 사장님에게 전화를드려 가불을부탁드렸습니다 그러고 쫌있다가 한번더부탁드렸습니다 일을한 금액안에서 이야기를했습니다그런데 쫌있다가 카톡이왔습니다 자기랑일하고싶음 예의부터배워오라고그러면서 예의없는애랑은일못한다면서 그만하자고 해고를당했습니다이것도 부당해고에포함인가요?

질문 주신 상황은 부당해고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래에서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해고의 정당한 사유와 절차 요건

  1. 근로기준법 제23조에 따르면,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2. ◇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고

  3. ◇ 해고 전에 최소 30일 전에 예고하거나, 30일치 통상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4. 단순히 가불 요청을 반복했다는 이유만으로 '예의 없다'고 판단하여 일방적으로 해고한 것은,

  5. 사회 통념상 정당한 해고 사유로 보기 어렵습니다.

  6. 정당한 사유 없이, 갑작스럽고 일방적인 방식으로 계약을 종료했다면 이는 부당해고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부당해고 구제 절차

  •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노동위원회(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해고가 부당하다고 인정되면, 원직복직 또는 해고기간 임금 지급 등의 판정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 유의할 점

  • 정식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일정한 근무 사실이 확인되면 근로자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카톡이나 문자 등의 증거는 향후 분쟁 시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필요하다면 가까운 **공인노무사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국번 없이 1350)**에 상담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문서나 증거를 잘 정리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내용도 참고해 보세요~

image
부당해고 3개월 내 대응법 완전정복!구제신청부터 증거 준비까지 A→Z

부당해고를 당하신 분들을 위한 실전 대응 가이드입니다. 3개월 내 구제신청부터 증거 준비, 절차별 전략, 이후 조치까지 핵심만 담았습니다. 목차왜 3개월 내 대응이 중요한가?노동위원회 구제신청 A→Z증거 수집 & 체계적 정리법절차별 대응 전략판정 이후 조치 완벽 가이드실전 성공 팁자주 묻는 질문왜 3개월 내 대응이 중요한가?노동법상 부당해고 구제신청 기한은 해고 통보일로부터 3개월. 이 기간을 넘기면 권리 상실로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5월 10일 통보·해고를 받았을 경우 8월 9일까지 노동위원회에 신청해야 하며, 8월 10일 이...

lusa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