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실업급여 월급 합산 제가 전직장에서 300을 받았고 지금 잘린 곳에서는 알바라서 60을 받았는데

제가 전직장에서 300을 받았고 지금 잘린 곳에서는 알바라서 60을 받았는데 고용보험일수 부족해서 전 직장에서 70일정도 끌어 온다고 하면 받는 실업급여 금액이 더 높아지나요? 아니면 잘린 알바 60만원에 대해서만 측정하나요?

✅ 질문 요약

Q. 전 직장에서 300만 원 받고 퇴사했고, 이후 알바에서 60만 원을 받다가 최근 해고되었습니다. 고용보험 일수가 부족해 전 직장 일수를 합산할 경우, 실업급여는 60만 원 기준인가요? 아니면 300만 원 기준으로 더 높아지나요?

✏ 답변드립니다.

실업급여 산정 기준은 **"이직 전 18개월 이내,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 근무한 평균임금"**입니다.

즉, 현재 일한 알바(60만 원)와 전 직장(300만 원) 모두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합산되며,

두 곳 모두의 평균임금이 반영됩니다.

✅ 구체적으로는:

  •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이상 충족하면

  • 이직 전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산정

  • 평균임금은 통상 최근 3개월치 급여 평균으로 계산

따라서 단기 알바 급여(60만 원)만 기준으로 잡히는 것이 아니라,

**전 직장에서 받았던 고정급(300만 원)**도 포함된 평균임금으로 실업급여가 계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 알바 기간이 너무 길거나, 전 직장과의 단절이 크다면 평균 임금이 낮아질 수 있음

  • 중간 이직 사유에 따라 전 직장 기간이 합산되지 않을 수도 있음 (예: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평균임금 계산법, 과거 직장과 알바 합산 조건, 주의사항까지 블로그에 정리해두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세요.

https://djccdy23.tistory.com/

※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확인서로 과거 직장 일수가 포함되는지 먼저 확인해보시고,

고용센터에 평균임금 산정 기준을 문의해보시면 가장 정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