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실업급여 신청 가능여부 현재 6년차 근무중입니다. 작년인가 재작년인가 2월에 월급의 절반을 못받고 그

현재 6년차 근무중입니다. 작년인가 재작년인가 2월에 월급의 절반을 못받고 그 해 11월즈음에 받았습니다. 거의 8개월 밀린듯?그 외에도 종종 월급이 절반씩 밀리고 다음달 받고 그러다가올해 6월 월급도 절반밖에 못받은 상황입니다실업급여 찾아보니 2개월 이상 밀려야 신청 가능하다는데자진퇴사하고 이직하려고하는데위의 사례로 신청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월급이 수차례 밀린 상황에서도 묵묵히 일해오신 질문자님의 사정을 보니 정말 안타깝고, 얼마나 답답하셨을지 마음이 짐작됩니다.

그동안 참아오신 만큼, 정당하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하나하나 짚어드릴게요.

✅ 실업급여 자격 기준 요약

실업급여는 비자발적인 사유로 퇴사한 경우에만 받을 수 있는데요,

급여체불은 대표적인 ‘정당한 이직 사유’로 인정됩니다.

질문자님의 상황 분석

질문자님의 사례를 다시 요약해보면:

  • 과거에도 수차례 임금이 밀렸다가 늦게 지급됨

  • 특히 올해 6월 급여도 절반만 지급됨

  • 자진퇴사를 고려 중 (사직서 작성 예정)

이 경우, 올해 6월 임금이 아직까지도 전액 지급되지 않았다면,

2개월 이상 체불 상태로 진행될 수 있고,

→ 실업급여 신청 시 "임금체불" 사유정당한 이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실업급여 인정 요건 (임금체불 사유)

고용노동부는 다음과 같은 경우 실업급여 수급자격을 인정합니다:

- 임금이 2개월 이상 계속하여 지급되지 않거나,

- 2회 이상 분할 지급되어 정상적인 생계 유지가 어려운 경우,

- 또는 상습적인 지연·체불이 반복된 경우

질문자님의 사례는 '상습적인 임금체불'에 해당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실업급여 신청 시 유의할 점

  1. 퇴사 전에 꼭 고용노동부 관할 고용센터 또는 고객센터(1350)에 사전 상담을 받으세요.

  2. → “임금체불로 인한 퇴사 예정”임을 기록해 두면 나중에 입증이 쉽습니다.

  3. 임금명세서, 통장입금내역, 근로계약서 등 체불 증빙자료를 준비해두세요.

  4. 노동청에 ‘임금체불 진정서’ 제출 시 더 강하게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5. → 실업급여 심사에서 임금체불이 공식 확인되면 수급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 참고 정보

- 퇴사일 기준 18개월 이내에 180일 이상 근무하셨다면 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도 충족됩니다.

-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6년이시라면 이 조건은 문제 없습니다.

결론

✔ 자진퇴사라 하더라도 "임금체불" 사유로 인정받을 수 있는 상황입니다.

✔ 특히 여러 차례 체불이 반복되었고, 최근 6월 임금도 절반만 지급된 상태라면

'정당한 이직 사유'에 해당합니다.

✔ 퇴사 전에 고용노동부에 미리 상담하고, 증빙자료를 확보해두시면 실업급여 신청에 무리가 없습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은 충분히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한 사례에 가깝습니다.

마음 졸이지 마시고, 퇴사 전에 꼭 상담하시고 실업급여 권리를 챙기시길 응원드립니다.

더 자세한 실업급여 자격과 준비서류는 아래 정리된 블로그에서 확인해 보세요.

image
[2025 실업급여 조건·금액·지급일 총정리] 실업급여 나는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 서론2025년 실업급여 조건이 변경되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내가 받을 수 있을까?”, “신청 방법은?”, “지급일은 언제?”, “금액은 얼마나?”이런 궁금증이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실업 사유, 고용보험센터 확인 여부에 따라 달라지죠. 특히 실업급여는 구직 중 생계 안정을 위한 중요한 지원 제도로,2025년 기준으로 신청 조건, 지급일, 지급 기간이 전년보다 더 까다로워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신청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조건과 금액, 지급일 계산법까지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끝까지 보면 수급 가능 여부...

storydang.com

힘든 시기지만, 응원합니다. 꼭 정당한 권리 지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