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디자인출원 물품류 안녕하세요,헤어 집게핀을 디자인출원하려고 하는데물품류가 헷갈려서 질문합니다.1. 집게핀은 제11류인지 제2류인지?2. 제

안녕하세요,헤어 집게핀을 디자인출원하려고 하는데물품류가 헷갈려서 질문합니다.1. 집게핀은 제11류인지 제2류인지?2. 제 11류의 핀(장신구)일까요? 아니라면 어떤걸로 선택해야하는지?3. 제 2류라면 디자인의 대상이 되는 물품이 무엇인지?그리고 중국 쪽은 신규성이 아예 공개되지 않은 제품만 가능하다고 들었는데한국에서 먼저 디자인 등록을 하고 제품 공개하지 않은 시점에서 중국 쪽 출원해도 되는지도 궁금합니다.중국은 디자인 출원하면 비용이 얼마나 들까요?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디자인 출원을 고려하고 계신 분께 변리사로서 전문적인 안내를 드립니다.

또한, 국내 디자인 등록은 물론 중국 등 해외 출원까지 연계하여 지원 가능한 유료 서비스를 함께 제안드립니다.

✅ 질문 1~3: “헤어 집게핀”의 디자인 출원 물품류

  1. 집게핀은 “제11류”에 해당할 확률이 있습니다.

  2. 디자인보호법상 분류 기준에 따르면,

  3. 제11류: 장신구에 속하는 “핀(pin), 머리장식, 헤어핀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핀(장신구)” 항목이 적절합니다.

  5. 디자인보호법상 세부항목 중 “헤어핀, 집게핀, 머리끈” 등은 모두 제11류의 장신구 하위 항목에 해당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중국 디자인 출원의 “공개 여부” 요건 및 출원 시점

중국은 우리나라와 다르게,

신규성(신규 디자인) 요건이 매우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공개된 제품은 디자인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즉,

  • 국내 디자인 출원 → 제품 미공개 → 중국 출원: ✅ 가능

  • 국내 등록 후 SNS/스마트스토어 등에서 제품 공개 → 중국 출원: ❌ 등록 거절될 수 있음

따라서 중국 출원을 계획 중이라면 국내 디자인 출원과 동시에, 해당 제품을 온라인에 절대 먼저 노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결론 및 추천

  • “집게핀”은 **제11류 핀(장신구)**으로 국내 디자인 출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중국 출원을 위해서는 제품 공개 전 반드시 국내와 중국을 함께 고려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 신규성 판단, 출원 타이밍, 중국 출원 수수료 등은 전문가 상담을 통해 설계하는 것이 제품 디자인의 보호 성공률을 높이는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추천 서비스:

네이버 엑스퍼트 디자인권 상담을 통해

☑ 국내 출원

☑ 중국 등 해외 출원 전략 수립

☑ 묶음 출원 시 비용 할인

☑ 특허사무소 연계까지 한 번에 진행해드릴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상담을 통해 디자인 보호의 첫 단추를 안전하게 끼워보세요!

사소한 실수가 수천만 원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비용보다 중요한 것은 ‘디자인 권리의 방패’를 미리 확보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