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계약직으로 4년 정도 근무하신 후 실업급여 신청 가능 여부로 고민이신 질문자님.
그런 말씀 들으면 당황스럽고 답답하시죠.
저도 예전에 비슷한 상황으로 회사를 나올 때 실업급여가 될지 몰라 많이 알아봤던 기억이 납니다.
제 경험상 이렇게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실업급여 수급 자격은 '비자발적 퇴사'가 핵심입니다.
질문자님은 계약이 종료되고 재계약이 되지 않은 상황이니, 명백히 비자발적 사유에 해당합니다.
‘계약 기간 만료로 인한 종료’는 고용보험법상 정당한 사유로 인정되어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정규직 전환 요건은 고용형태의 판단 기준일 뿐, 실업급여 수급에는 직접 영향이 없습니다.
회사에서 "2년 넘으면 정규직으로 전환되어 실업급여 안된다"고 말한 건, 기간제법의 오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용노동부 기준으로는, 2년 초과 근무했다고 무조건 정규직이 되는 것도 아니고,
정규직 전환 여부와 관계없이 계약서상 '기간제' 근로자로 명시되어 있고, 계약 만료로 종료되었다면 실업급여 대상입니다.
고용센터에 이의신청 또는 상담을 꼭 받아보세요.
혹시라도 회사에서 이와 관련된 내용을 '자발적 퇴사'로 처리했다면, 이의신청을 통해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계약종료인데 자발적 퇴사로 신고된 사례가 꽤 많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실업급여 신청 사유로 인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가까운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직접 문의하셔서 사실관계 확인 후 신청 진행하시면 됩니다.
위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직접 검색하여 일부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2025실업급여 총정리]
실업급여는 갑작스러운 경력 단절이나 고용 불안정 시 경제적 안전망 역할을 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최근 구직 활동이 어려운 상황에서, 실업급여 수급은 재취업 준비에 큰 힘이 됩니다. 본 글에서는 신청 자격부터 실제 수령 방법까지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러 가기✅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은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워크넷’을 통해 가능합니다. 먼저 공인인증서나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한 후, ‘실업급여 신청’ 메뉴를 선택합니다. 이어서 본인 정보 입력, 퇴사 사유 및 경력 사항 작성, 구직 활동 계획 등을 기...
ilsang-alchemy.tistory.com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